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겨울철 히트쇼크 주의보, 뜻, 예방법

by 윈터치킨 2023. 2. 9.

왼손으로는 메모장을 잡고 있고 오른손으로는 연필을 잡고 글씨를 쓰고 있다.

 

국내 일본 여행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0월, 일본 온천 여행을 간 한국인 3명이 숨졌다는 사실이 보도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매년 목욕을 하다가 사망하는 사람이 한해 2만 명이 넘게, 교통사고 사망자의 3배가 넘는다고 합니다. 오늘은 우리에겐 생소하지만 꼭 알아야 하는 히트쇼크, 그 뜻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히트쇼크란 무엇인가

겨울철 온천에 갔을 때 탈의실에서 옷을 벗는 순간부터 추위에 노출되는데 우리 몸은 체온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혈압이 치솟은 상태에서 따듯한 물에 갑자기 들어가게 되면 혈관이 순식간에 이완하면서 혈압도 급격하게 낮아집니다. 

 

결국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을 일으켜 돌연사의 원인이 됩니다. 단지 일본에서 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대중목욕탕이나 사우나 등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니 예방법을 숙지하여 사고를 방지해야 합니다. 

히트쇼크 예방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압과 체온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도록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물에 들어가기 전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거나 따듯한 물로 샤워하기 또는 따듯한 물을 몸에 뿌리고 들어가는 등 체온을 미리 높이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 탕에 들어갈 때는 따듯한 온도에 서서히 적응하기 위해 심장에서 먼 손이나 발부터 들어갑니다. 
  • 탕에 머무는 시간은 1회 10~15분을 넘지 않게 하고 1일 2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 탕에서 나올 때는 곧바로 물기를 닦고 옷을 입어서 급격한 체온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가운데 커다란 욕조가 있고 벽에는 습기가 찬 거울이 있다.

  • 식사 직후나 음주 후에는 입욕을 피합니다. 
  • 고혈압, 심장병 등 심혈관 질환이 있거나 고령자는 일행과 함께 입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어깨까지 몸을 담그면 혈압이 20~30mmHg으로 떨어지는 반면, 반신욕의 경우 5~20mmHg으로 혈압 변동이 완만하므로 심장이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명치 아래부위까지만 몸을 담그는 것이 좋습니다. 

히트쇼크 환자를 발견했을 때의 대처법

목욕 중 의식을 잃은 사람을 발견한다면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의식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환자의 반응이 없다면 심정지 상태라고 판단하고 즉시 119에 신고합니다. 이후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인 상태라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합니다. 

 

심폐소생술은 119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계속 시행하며, 환자의 호흡이 회복되었다면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를 옆으로 눕힙니다. 쇼크로 실신할 경우 넘어지며 머리에 출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머리에 출혈이 발생할 경우 우선 119에 신고한 후 깨끗한 수건 등을 상처부위에 대고 가볍게 압박하여 지혈합니다.  

 

댓글